리뷰

어려운 구글 애드센스 용어 총정리!!!

바구옹 2022. 1. 21. 01:22
반응형

블로그 애드센스로 광고수익을 내려면 기본적인 언어 공부가 필요한데요

블로그 용어는 아무리 들어도 헷갈리고 어렵네유 

그래서 한페이지에 정리를 해보려 합니다!

수익형 블로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나의 콘텐츠가 어떠한 방식으로 수익이 생기는지를 분석하고 알아야 합니다!

그중에 가장 기본적인 용어들을 공부하며 분석해나가는 방법을 사용하면 좋을 거 같습니다~

저는 초보고하니 저의 눈높이에서 알기 쉽게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이 화면이 구글 애드센스에 연동이 되고 수익이 생기게 되면 각종 예상수입, 실적 등을 볼 수 있는 홈 화면입니다.

솔직히 수입이 얼마나 늘었는지만 보면 될 거 같지만 블로그를 시작했으면 새로운 지식 정도는 필요하겠쥬???

예상수입

애드센스 보고서는 대략 15분에서 30분마다 업데이트된다고 하는데요

예상수입 항목에서는 오늘 현재까지, 어제, 지난 7일, 이번 달, 최근 28일로

항목이 나눠져 있습니다.

오늘 현재까지 예상수입은 정산되기 전까지 확실한 수치는 아닙니다

광고 집계가 되지 않는 무효 트래픽을 제외하지 않은 수치 이기 때문입니다.

무효 트래픽은 블로그 운영자가 의도적으로 광고를 노출시키거나 부당한 방법으로 수익을

발생시켰을 때를 의미합니다.

잔고

잔고 항목은 예상수입이 확정지급이 되어 실제 인출이 가능한 수입 항목입니다

광고 단위

이 항목은 이제 티스토리에서 애드센스 광고 게재를 업데이트해서 굳이 광고 단위를 만들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예전에는 광고 유형이나, 광고 크기를 직접 지정하여 HTML 수정을 통해 광고 추가를 하였지만

이제는 블로그 스킨에 따라 크기를 직접 지정해주고 알아서 다해줍니다~!

실적은 그냥 그래프로 수치를 보여주기 때문에 추가 설명은 하지 않겠습니다


이제부터는 애드센스 홈 화면에서는 없었지만 가장 중요한 용어들을 설명드릴게요!

페이지뷰

블로그를 운영하시다 보면 이 친구가 가장 신경 쓰이실 겁니다.

블로그 방문자가 블로그를 방문하여 글을 읽은 횟수가 카운트됩니다!

페이지 RPM 

RPM(Revenue per millennium)

페이지 RPM은 페이지뷰 1,000명당 발생하는 수익입니다

이 항목은 예상수익이며 실제 수익은 아닙니다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는 계산식을 알려드리겠습니다

RPM = (예상수입/ 조회수)*1000 

1,000명당 수익이 존재하니... 일 평균 방문자가 1,000이 되지 않으면 수입도 그만큼 적다는 거겠죠

노출수

블로그에 게재된 광고가 방문자에게 노출이 되었을 때 카운팅 되는 항목입니다

EX) 노출수는 글 한 개에 광고가 10개가 붙어있는데 방문자가 글을 읽으면서 광고 10개가 노출이 된다면

노출수가 10개가 카운팅 되는 방식입니다

 CPC(Cost per Click)

직역하면 '클릭당 비용'이쥬 

방문자가 광고를 클릭할 때마다 발생하는 수익입니다.

CTR(Click Though Rate)

CTR은 클릭률을 말합니다

클릭률이 적다는 것은 사람들의 이목을 끌 수 있는 광고 소재가 떨어지고 있다는 반증이 되어

좀 더 신경을 써야 하는 부분이 어떤 부분인지 알 수 있어서 유용한 기능입니다.

CTR 계산식으로는 CTR = 광고 클릭수 / 페이지 조회수


이번 포스팅에서는 여기서 마무리하고요

저도 좀 더 공부하여 많은 정보 공유해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느낀 점이 처음에는 무조건 일주일에 2~3개는 포스팅해야지

이렇게 다짐하지만 길게는 못 가더라고요...ㅋ

하루하루 미루다 보면 습관이 되어 몇 달 그냥 넘어가는 게 한두 번이 아닙니다...ㅋ

꾸준함을 유지하면서 RPM, CTR, 페이지뷰, CPC 등등을 제대로 이해하며

블로그를 운영하여 모두들 빠른 성장 하시길 바라겠습니다!

 

 

 

반응형